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팁

2024년 차상위계층 혜택 (상세 내용)

by 악악악123 2024. 1. 10.
반응형

차상위계층이란 기초생활수급자보다는 소득이 높지만, 중위소득의 60% 이하인 가구를 말합니다.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와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복지 혜택을 받기 어려운 상황에 있습니다. 오늘은 2024년 차상위계층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차상위계층혜택(상세내용)-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생계지원 

 

  • 자산 형성사업: 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저축액의 일부를 보조해 주는 사업입니다. 차상위계층은 월 5만 원 이상 저축하면 정부가 2만 원을 보조해 줍니다.

 

  • 장애수당 및 장애 아동수당: 장애인과 장애 아동에게 매월 일정액의 수당을 지급하는 사업입니다. 차상위계층은 장애수당을 10만 원, 장애 아동수당을 15만 원 받을 수 있습니다.

 

  •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저소득층의 영유아에게 기저귀와 조제분유를 무료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차상위계층은 기저귀를 1개월에 100매, 조제분유를 1개월에 2kg 받을 수 있습니다.

 

  • 차상위 자활근로: 저소득층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일자리를 제공하고 임금을 보조하는 사업입니다. 차상위계층은 최대 6개월 동안 자활근로를 할 수 있으며, 임금은 시간당 8천 원입니다.

 

  •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저소득층의 채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채무를 감면하거나 분할상환하는 사업입니다. 차상위계층은 신용회복위원회에 신청하면 채무를 최대 80%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혜택 내용 금액
자산 형성사업 월 5만원 이상 저축하면 정부가 2만원 월 2만원
장애수당  장애인에게 매월 수당 지급 월 10만원
장애 아동수당 장애 아동에게 매월 수당 지급 월 15만원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영유아에게 기저귀와 조제분유 무료 지원 기저귀 100매, 조제분유 2kg 
차상위 자활근로 정부가 일자리 제공하고 임금 보조 시간당 8천원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채무를 감면하거나 분할상환 최대 80% 감면

 

반응형

 

의료지원

 

  • 노인 실명예방: 노인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수술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차상위계층은 노인 실명예방 검진을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수술비는 5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암 검진 및 개인 수술: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암 검진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수술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차상위계층은 암 검진을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수술비는 3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선천성 난청 검사 및 보청기 지원: 선천성 난청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 출생 후 1개월 이내에 난청 검사를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보청기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차상위계층은 선천성 난청 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보청기는 5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취학 전 아동 실명예방 및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취학 전 아동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수술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또한, 여성청소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생리용품을 무료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차상위계층은 취학 전 아동 실명예방 검진을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수술비는 5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여성청소년은 생리용품을 1개월에 10개까지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혜택 내용 금액
노인 실명예방 노인에게 안과 검진 및 수술비 지원  검진 무료, 수술비 50%
암 검진 및 개인 수술 암에 대한 검진 및 수술비 지원 검진 무료, 수술비 30%
선천성 난청 검사 및 보청기 지원 선천성 난청에 대한 검사 및 보청기 지원 검사 무료, 보청기 50%
취학 전 아동 실명예방 및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취학 전 아동에게 안과 검진 및 수술비 지원, 여성청소년에게 생리용품 지원 검진 무료, 수술비 50%, 생리용품 10개

 

 

복지로 바로가기

 

 

이상으로 2024년 차상위계층 혜택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가구는 복지로에서 신청하거나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차상위계층 혜택을 잘 활용하여 생활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