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팁

급여와 임금의 차이 (정의와 지급주기 및 방식과 대상)

by 악악악123 2024. 1. 6.
반응형

급여와 임금은 노동의 대가로 받는 돈이나 물품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두 단어는 법적으로나 일상적으로나 정확한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 오늘은 급여와 임금의 차이를 법적 정의와 지급 주기 및 지급 방식과 지급 대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급여와임금의차이정의와지급주기및방식과대상-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법적 정의

 

  • 급여: 돈이나 물품 따위를 줌 또는 그 돈이나 물품
  • 임금: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사용자에게 받는 보수, 급료, 봉급, 수당, 상여금 따위가 있으며 현물급여도 포함된다.

법적 정의에서는 급여가 임금의 상위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임금은 급여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급여와 임금을 구분하기 위한 다른 기준들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지급 주기

 

  • 급여: 월 단위로 지급되는 노동의 대가
  • 임금: 일 단위로 지급되는 노동의 대가

지급 주기에 따라 급여와 임금을 구분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무직과 생산직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사무직은 월급제로 근무하고, 생산직은 일급제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 기준은 예외가 많습니다. 일부 사무직은 시간 단위로 임금을 받기도 하고, 일부 생산직은 월 단위로 급여를 받기도 합니다.

 

반응형

 

지급 방식

 

  • 급여: 고정된 금액으로 지급되는 노동의 대가
  • 임금: 근무 시간이나 성과에 따라 변동되는 노동의 대가

 

지급 방식에 따라 급여와 임금을 구분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고정급과 변동급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고정급은 근무 시간이나 성과와 관계없이 동일한 금액을 받는 것이고, 변동급은 근무 시간이나 성과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기본급, 상여금, 퇴직금 등은 급여의 예이고, 시간당 임금, 수당, 인센티브 등은 임금의 예입니다.

 

 

지급 대상

 

급여: 본사의 직원에게 지급되는 노동의 대가

임금: 지사의 직원에게 지급되는 노동의 대가

 

지급 대상에 따라 급여와 임금을 구분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본사와 지사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본사의 직원은 급여를 받고, 지사의 직원은 임금을 받는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기준은 업종이나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중소기업 임금, 대기업 절반에도 못 미쳐…청년층 기피 주된 이유

(시사저널=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중소기업이 인재 유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 간 임금 차이가 2배 이상 벌어지는 현상이 수년째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

v.daum.net

 

결론

 

이상으로 급여와 임금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급여와 임금은 법적으로나 일상적으로나 정확한 구분이 쉽지 않은 단어입니다. 그러나 법적 정의, 지급 주기, 지급 방식, 지급 대상 등의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급여와 임금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