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팁

가정양육수당 종류와 금액 및 신청방법

by 악악악123 2023. 11. 19.
반응형

가정양육수당은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 돌봄 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되는 취학 전 영유아에게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부모님이 받을 수 있으며, 부모급여와 함께 지원됩니다. 오늘은 가정양육수당의 종류와 금액 및 신청방법 등에 알아보겠습니다.

 

가정양육수당종류와금액및신청방법-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가정양육수당의 종류와 금액

 

가정양육수당은 아동의 연령, 거주지역, 장애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연령 (개월)  양육수당  농어촌 양육수당 장애아동 양육수당
0~11 200천원 200천원 200천원
12~23 150천원 177천원 200천원
24~35 100천원 156천원 100천원
36~47 100천원 129천원 100천원
48~86 100천원 100천원 100천원

 

  • 양육수당은 만 24개월부터 만 7세 취학 전까지 지급됩니다. 단, 2022년 이전 출생한 아동은 만 12개월부터 지급됩니다.
  • 농어촌 양육수당은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영유아에게 추가로 지급됩니다. 농어촌 지역은 시·군·구에서 정하는 바에 따릅니다.
  • 장애아동 양육수당은 장애인으로 등록된 영유아에게 추가로 지급됩니다. 장애인 등록은 보건소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정양육수당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1. 복지로 홈페이지 온라인 시청

 

2. 심사 및 결정

  • 시·군·구에서 신청서와 서류를 검토하고 가정양육수당의 지급 여부를 결정합니다. 결정 결과는 서면으로 통보됩니다.

3. 수당 지급

  • 가정양육수당은 신청일을 기준으로 지원이 결정되며, 지급결정일이 속하는 달부터 지원됩니다. 수당은 매월 20일에 신청자의 통장에 입금됩니다.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방문 신청

1. 신청서 작성

  • 가정양육수당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신청서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나 육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 필요 서류 준비

  • 신분증 사본, 주민등록등본, 통장 사본 등을 준비합니다. 농어촌 양육수당이나 장애아동 양육수당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시·군·구에 제출

  • 작성한 신청서와 필요 서류를 거주지 시·군·구에 제출합니다. 제출 방법은 방문, 우편, 온라인 등이 있습니다.

4. 심사 및 결정

  • 시·군·구에서 신청서와 서류를 검토하고 가정양육수당의 지급 여부를 결정합니다. 결정 결과는 서면으로 통보됩니다.

5. 수당 지급

  • 가정양육수당은 신청일을 기준으로 지원이 결정되며, 지급결정일이 속하는 달부터 지원됩니다. 수당은 매월 20일에 신청자의 통장에 입금됩니다.

 

반응형

 

가정양육수당 지원 중단 및 정지 사유

 

  • 아동이 사망하거나 국적을 상실한 경우
  • 아동이 난민으로 인정되었다가 취소되거나 철회된 경우
  • 아동이 행방불명, 실종 등으로 30일 이상 생사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 아동이 거주불명으로 등록된 경우. 단, 실제 거주지를 알 수 있는 경우는 제외
  • 보호자가 양육수당 지원의 정지를 신청하는 경우
  • 아동이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
  • 아동이 90일 이상 해외에 장기 체류하는 경우. 단, 재입국 시에는 자격 재책정 후 지원

 

가정양육수당과 부모급여의 차이점

 

부모급여는 출산 후 24개월까지 부모 중 한 명이 직장을 그만두고 자녀를 직접 양육할 경우에 지급되는 급여입니다. 부모급여와 가정양육수당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구분 부모급여 가정양육수당
대상  출산 후 24개월까지 자녀를 직접 양육하는 부모 중 한 명 어린이집,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되는 취학 전 영유아 
요건 소득 상위 70% 이하의 가구 소득 무관
금액 월 최대 100만 원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 월 10~20만 원 (연령에 따라 차등 지급) 
기간  출산 후 24개월까지  24개월까지 만 24개월부터 만 7세 취학 전까지

 

부모급여와 가정양육수당은 중복으로 받을 수 없습니다. 부모급여를 받는 경우에는 가정양육수당을 받을 수 없으며, 반대로 가정양육수당을 받는 경우에는 부모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부모님들은 자신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두 제도 중 하나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가정양육수당의 종류와 금액및 신청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정양육수당은 가정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님들에게 주어지는 혜택입니다.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분들이 신청할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이용 바랍니다. 또한, 부모급여 제도와 함께 운영됩니다. 부모님들은 두 제도의 차이점을 잘 파악하여 자신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두 제도 중 하나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가정양육수당에 관한 블로그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가정양육수당은 가정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님들의 힘든 역할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자 하는 정부의 노력입니다. 부모님들은 이러한 혜택을 잘 활용하시고,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