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팁

난민 수용 문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찬반 근거와 여론 분석

by 악악악123 2024. 5. 25.
반응형

난민 수용 문제는 인도주의적인 측면과 국가의 이익, 안보,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의 의견도 갈리고 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난민 수용에 찬성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의 근거와 대한민국 국민들의 여론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난민수용문제,어떻게생각하시나요?-찬반근거와여론분석-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난민 수용 찬성 측의 근거

 

  • 6.25전쟁 때 우리나라도 난민을 배출한 국가로, 난민을 받지 않는 것은 무책임하다.
  • 선진국에 비해 적은 난민 수로, 국제사회의 책임감과 외교력을 보여줘야 한다.
  • 탈북자 외의 이슬람권 난민들을 받지 않는 것은 배타주의적이고 인종차별적이다.
  • 난민을 받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국제적인 발언권과 도덕적 당위성이 약해진다.
  • 난민은 모든 국제사회의 구성원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도와줘야 한다.
반응형

 

난민 수용 반대 측의 근거

 

  • 우리나라는 식민지배를 받은 국가로, 난민에 대한 역사적 책임이 없다.
  • 분단국가로서 탈북자라는 난민을 이미 받고 있으며, 북한에 급변사태가 터지면 더 많은 난민을 떠안을 가능성이 있다.
  • 타국의 난민들, 특히 이슬람권 난민들은 우리나라의 정치체제와 문화에 익숙하지 않으며, 치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예산 부족으로 저 복지 상태인 우리나라는 난민을 위한 복지까지 수행할 능력이 없으며, 우리나라의 저소득층을 위한 복지가 우선적이다.
  • 난민 수용은 국가의 고유 권한으로, 난민 협약에 가입되어 있어도 난민을 받아야 할 의무는 없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여론

 

  • 전쟁 또는 탄압으로 인한 난민 수용에 대해 61%가 동의하고, 경제적 이유나 난민 우대 복지 정책을 목적으로 한 난민 지위 획득에 대해 55%가 동의했습니다.

 

  • 난민 수용 규모에 대해서는 45%가 현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했고, 12%는 더 많은 난민을 받아야 한다고, 30%는 난민 수용 규모를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 난민 지원 정책에 대해서는 49%가 현재 수준을 유지하는 것에 동의했고, 10%는 난민 지원 정책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10%는 난민 지원 정책 수준을 줄여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 난민 유형에 따라서는 전쟁과 폭력 충돌로부터 탈출한 난민에 대해 39%가 지원을 지지했고, 성정체성으로 인한 난민에 대해 49%가 지원을 반대했습니다.

 

  • 망명 신청 중 근로 허가에 대해서는 45%가 근로 허가가 난민의 언어 교육과 정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고, 52%가 근로 허가가 더 많은 난민들이 망명 신청 없이 자국에 들어오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촉법소년 나이와 연령 하향에 따른 찬성과 반대 근거

촉법소년이란 범행 당시 형사책임연령인 만 14세가 되지 않은 소년범을 말하며, 이들은 형사 처벌을 받지 않고 보호 처분을 받습니다. 하지만 최근 촉법소년의 범죄율이 증가하고, 흉악한 범죄

everymovementintheworld.tistory.com

 

 

 

소년원과 소년 교도소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소년범죄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소년범죄를 저지른 청소년들은 어떻게 처벌되고 교정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소년범죄를 저지른 청소년들은 소년법에 따

everymovementintheworld.tistory.com

 

 

마치며

 

난민 수용 문제는 단순히 찬성과 반대로 나눌 수 없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입니다. 대한민국 국민들도 현재 수준의 난민 수용과 지원에는 공감하고 있지만, 특정 영역에서는 난민 수용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난민들에 대한 국제적인 지원이 쏟아지면서 난민 지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다시 확산되고 있습니다. 6.25 한국 전쟁 이후 선진국 반열에 오른 대한민국인만큼 난민 수용 정책에 대한 사회적 책임감과 공감대가 먼저 형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