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도가 청년, 중장년층 및 가족 돌봄이 필요한 청년을 위해 새로운 일상 돌봄 서비스 사업을 확대하여 시행합니다. 이는 일상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에 대응하고자 도입된 맞춤형 서비스입니다. 오늘은 경기도 일상 돌봄 서비스의 대상, 제공 내용, 신청 방법 및 절차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기도 일상돌봄 서비스 대상자와 범위
경기도 내에서 돌봄이 필요한 청년 및 중장년층, 그리고 가족 돌봄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들에게 필요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경감시키고자 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서비스는 크게 기본 서비스와 특화 서비스로 나뉘며, 이용 가능 기간은 기본적으로 6개월입니다. 이후, 필요에 따라 최대 5회 연장하여 총 36개월까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기본 서비스: 기본 서비스는 가정을 방문하여 제공되는 재가 돌봄 및 가사 서비스를 포함합니다. 이 서비스는 월 12시간에서 최대 72시간까지,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특화 서비스: 특화 서비스는 기본 서비스 외에 이용자의 특별한 필요에 맞춘 7가지 추가 서비스를 포함합니다. 이용자는 최대 2개까지의 특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식사영양 관리 서비스: 스스로 식사 준비가 어려운 대상자를 위한 서비스
- 심리지원 서비스: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대상자를 위한 상담 및 지원
- 병원동행서비스: 이동이 불편한 대상자의 병원 방문을 돕는 서비스
- 맞춤재활 서비스: 재활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
- 세탁서비스: 대형 빨래 배달 서비스
- 독립생활 지원: 미래 설계 및 재무·재정 관련 상담 서비스
- 청년신체건강증진 서비스: 자세 교정 및 체력 강화 프로그램
경기도,+수원+등+27개+시군+‘일상돌봄서비스’+확대+추진.pdf
0.18MB
반응형
신청 방법 및 절차
- 신청 장소: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신청 절차: 본인 또는 대리인이 필요 서류를 준비하여 신청
이용 시 주의사항
- 서비스 이용 시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선정된 대상자는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 경기도 복지사업과: 031-8008-5218
- 경기도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031-271-9228
서비스 제공 절차
- 신청 접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선정 조사: 필요시 선정 조사 실시
- 서비스 제공 결정 및 계약: 선정 결과에 따라 서비스 계약 및 제공
-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상태 및 이용자 만족도 모니터링
경기도, 수원 등 27개 시군 ‘일상돌봄서비스’ 확대 추진
경기도가 4월부터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과 가족돌봄청년의 일상 부담...
gnews.gg.go.kr
경기도의 일상 돌봄 서비스 확대는 돌봄이 필요한 모든 세대에 걸쳐 포괄적인 지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경기도민은 이번 기회를 활용하여 필요한 지원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일상생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장애인 누림통장' 대상 확대: 19~23세 장애인 청년을 위한 새로운 기회 (11) | 2024.04.07 |
---|---|
한부모 가족 양육비 선지급제: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한 전환점 (7) | 2024.04.06 |
벌금 조회 및 납부: 정부24를 통한 간편한 접근과 사회봉사 신청 방법 (10) | 2024.04.05 |
시간제 보육 서비스: 현대 부모의 유연한 양육 해법 (11) | 2024.04.04 |
개인 채무조정 사업: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한 해결책 (14) | 2024.04.02 |
종합소득세 (종소세) 신고 가이드: 개인사업자 및 알바를 위한 완벽한 안내 (9) | 2024.04.01 |
특별현금급여(가족요양비): 노인 장기요양의 든든한 지원군 (21) | 2024.03.31 |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를 위한 지원 사업: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큰 걸음 (15) | 2024.03.30 |